2024. 2. 2. 14:14ㆍLinux/CentOS7
Storage 관리에 앞서
그 종류를 몇가지 알아보려 한다.
DAS(Direct Attach Storage)
Storage 전용 매체 (케이블)을 통해서
정보 시스템과 직접 연결된 Storage
종류 : IDE, SATA, SCSI
단점 : 원거리 설치 불가능, 확장이 쉽지않다.(정보 시스템내 구성)
장점 : 속도가 빠르다, 비용이 저렴하다
NAS(Network Attached Storage)
통상적으로 100Mbps ~ 1Gbps로 구성된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Storage
종류 : NFS, iSCSI
단점 : 네트워크 속도가 느리며 병목현상이 생기면 더 느려짐
장점 : 기존 네트워크를 활용함으로서 비용이 저렴, 확장성이 뛰어나다.
SAN(Storage Area Network)
Storage 영역내에 별도의 네트워크 구성.
SAN Switch, HAB Card (SAN switch와 연결되는 서버등에 장착되는 카드)
종류 : Fiber, FCoE
단점 : 비용이 비싸다, 구성이 쉽지않다.
장점 : DAS보다 느리지만 NAS보다 훨씬 빠르다. (16Gbps), 확장이 용이하다
Cloud Storage
Block Storage : 디스크 단위의 Storage
Object Storage : RestAPI 사용, 객체별로 URL을 부여해서 사용
99.999999999의 가용율을 가진다
NFS :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
Disk 사용하기 위한 3 단계
1. 파티션
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 하는 것
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1개 이상의 파티션이 필요
3MBR(Master Boot Record)
주 파티션 4개까지. 주 파티션 중 오로지 1개만 확장 파티션으로 생성
확장 파티션은 12개의 논리 파티션으로 생성 가능 (GPT : 128 파티션 생성 가능)
2. 파일 시스템 지정
파일과 디렉토리를 구조화해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
윈도우 : FAT16, FAT32, NTFS
리눅스 : EXT2,EXT3, EXT4, XFS
EXT3, EXT4 Journaling File System
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하거나 삭제하면 Log를 남겨 복구에 활용 가능
Log 작업때문에 느려지는 속도를 개선한 것이 EXT4)
3. 드라이브명 할당(윈도우) OR 마운트 (리눅스)
윈도우 : 드라이브명 할당 (A-Z사용, 비어있는 문자 활용)
리눅스 : 마운트
리눅스에서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디렉토리와 연결해야하한다. 이를 마운트라 한다.
실습에 앞서서
CentOS7-1 에 hdd를 5,10GB를 scsi 방식으로
하나씩 추가해주자
그 이후 centos 에서 lsblk
명령어로 확인해보자
위처럼 sdb, sdc 라는 디스크가 두가지 추가됐다.
리눅스는 항상 장치 앞에
device,
/dev가 붙는다
즉, 장치는 모두 /dev 디렉토리 안에 들어가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!
만약 sdb 디스크를 선택하려면
/dev/sdb 가 맞는 경로다
1.파티션
첫번째 파티셔닝을 위해
fdisk라는 파티션 명령어를 사용해주자
fdisk /dev/sdb
많은 명령어가 존재하는데
지금부터 자주 사용하는 몇가지만 알아두자
d - 파티션 삭제
n - 새 파티션 추가
p - 파티션 테이블 출력
q - 저장없이 나가기
t - 파티션의 시스템 아이디 변경
w - 저장 후 나가기
지금은 새 파티션을 추가할 것이니
n을 입력해주자
그럼 위와 같이 출력되는데 하나씩 확인해보자
Select : 파티션 타입 선택 (주파티션 or 확장) : (아무것도 입력안하면 주파티션 생성)
Partition number : 파티션 번호 지정 : (아무것도 입력 안하면 제일 앞 숫자 지정)
First sector : 디스크 내 파티션의 시작점 : (아무것도 입력 안하면 제일 앞부터 지정)
(sector의 0-2047 은 리눅스에서 고유하게 점유하고 있다.)
Last sector : 디스크 내 파티션의 끝점 : (아무것도 입력 안하면 가장 끝으로 지정)
마지막 섹터를 제일 끝으로 지정하면 디스크 하나에
하나의 파티션만 들어가게 된다.
+10k , +10M , +10G를 입력하면 10키로,10메가,10기가바이트의 용량으로 지정된다
섹터 설정의 예시는 위 사진을 보면 된다.
파티션을 만든 뒤
p 명령어로 확인해보자
/dev/sdb1 로 잘 생성됐다.
sdb의 하위에 ㄴsdb1로 표시가된다.
다시 fdisk /dev/sdb 에서
d 옵션으로 방금 파티션을 삭제했다.
이제 사용법을 알았으니
다시 파티션을 해주는데
첫번째 파티션은 2GB
두번재 파티션은 나머지를 지정해주자
저장 후 lsblk로 확인해보면
sdb 파티션이 2,3GB로 잘 나뉜 것이 보인다.
파티션 완료
2.파일시스템 지정
mkfs ( make file system) 명령어
사용법
mkfs -t (시스템 종류) (파티션주소) ormkfs.(시스템종류) (파티션주소)
시스템 종류 : EXT2, EXT3, EXT4, XFS
두 파티션을 각각 ext4, xfs로 지정해주자
mkfs -t ext4 /dev/sdb 명령어로 파일시스템을 지정했다.
그 이후 blkid 명령어로 파일시스템을 확인해보면
ext4로 잘 지정된 것을 볼 수 있다.
두번째 파티션은 xfs로 지정했다.
3.마운트
리눅스에서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선
반드시 디렉토리와 연결해야한다.
mount (장치명) (디렉토리명 = 마운트포인트)
마운트하기 위한 디렉토리 /f1 /f2 를 생성하자
현재 /f1 /f2 디렉토리는 sda 디스크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. (sda의 /디렉토리이기때문)
마운트하기전에 각 디렉토리에
txt 파일을 생성해 봤다.
이제 마운트를 진행하자
마운트 진행 후 mount 명령어로 마운트 목록을 확인하자
마지막줄에 잘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.
ls로 /f1 /f2를 다시 확인해보자
좀전에 만들었던 txt파일은 모두 사라졌다.
이유는 리눅스는 실제로 파일이 그 디렉토리에 있다기보단
링크되어 있어서 우리가 식별하기 편하게 된 것이다.
그런데 지금은 그 링크지점이 /dev/sdb1, 2 로 변경되어서
더이상 보이지 않게 된것이다. (삭제 된 것이 아니다)
다시 /f1 /f2 디렉토리에 파일을 만들어 줬다.
그리고 umount 명령어로 마운트를 끊어보자
umount (마운트 포인트or장치명)
마운트 목록에서 /f1, /f2가 사라졌다
마운트를 해제하자
이전에 만들었던 파일들이 다시 보인다.
간단하게 말하자면
mount의 여부에 따라서 링크 방향이 바뀐다고 생각하면 된다!
4.파티션 제거 순서
파티션을 제거할때는
생성의 역순으로 진행해주면 된다
umount > 파일시스템 제거 > 파티션 제거
umount 진행
파일시스템을 제거할땐
wipefs -f -a (장치명)
삭제 후 blkid로 확인
파티션 제거
fdisk로 삭제를 진행하고 저장해주자
파티션의 생성부터 삭제까지 깔끔하게 진행해보았다.
'Linux > CentOS7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 11 . Linux 설치 시 lvm 수동설정 (0) | 2024.02.06 |
---|---|
Linux 10 . LVM (0) | 2024.02.05 |
Linux 8 . skel과 default/useradd 그리고 login.defs (0) | 2024.02.01 |
Linux 7 . shodow 분석 (0) | 2024.01.31 |
Linux 6 . 사용자와 그룹관리 (0) | 2024.01.31 |